블로그를 검색해보세요

2013년 1월 22일 화요일

흰꼬리수리의 추락...


흰꼬리수리의 영명은 White-tailed sea eagle입니다. 미국의 국조인 흰머리수리(bald eagle, Haliaeetus leucocephalus, leuco-는 흰, -cephalus는 머리라는 뜻입니다)와 같은 바다수리류입니다. 우리나라에는 이밖에도 참수리가 살고 있습니다. 참수리는 Steller's sea eagle, Haliaeetus pelagicus (pelagicus는 Pelagic이라는 바다 혹은 대양을 뜻합니다)라고 부르지요. 학명을 잘 알아보면 동물의 일반적인 특징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흰꼬리수리 완전 성조

참수리 완전성조

검독수리 어린새


흰꼬리수리의 학명은 Haliaeetus albicilla (Hali- 는 바다/소금 -aeetus는 수리 즉 바다수리라는 의미이며, albi- 는 하얗다는, cilla-는 꼬리를 뜻하죠)입니다. 흰꼬리바다수리라는 뜻이죠.
 
우리나라에서는 흰꼬리수리는 멸종위기 1급, 1973년 천연기념물 제243-3호로 지정 보호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강력하게 보호하고 있는 동물임에도 불구하고 들고다니는 총 아무데나 갈겨대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지난 2013년 1월 19일 충남 금산군청에서 신고된 흰꼬리수리가 있습니다. 현장에 도착하자 등에서 피를 흘리고 입안에 피를 머금은 흰꼬리수리 성조가 다리도 움직이지 못한 채 엎드려 있었습니다. 직감컨대 총상이었죠.

문화재보호법에 따르면 천연기념물은 국가지정문화재로서

제92조(손상 또는 은닉 등의 죄) ① 국가지정문화재(중요무형문화재는 제외한다)를 손상, 절취 또는 은닉하거나 그 밖의 방법으로 그 효용을 해한 자는 3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한다.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류에 따르면

제67조(벌칙) ① 제14조제1항을 위반하여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을 포획ㆍ채취ㆍ훼손하거나 고사시킨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상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② 상습적으로 제1항의 죄를 지은 사람은 7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이 경우 5천만원 이하의 벌금을 병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3년 이상의 유기징역에에 처해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총질을 해대고 있습니다.

총상으로 추정된 흰꼬리수리를 충남야생동물구조센터로 후송 후 방사선 검사를 실시한 결과 총알이 목과 복부, 다리에 4발이 박혀 있었고 가슴을 관통하여 엉덩이뼈를 뚫고 나와 숨이 새어나오고 있는 상태였습니다. 이 보기도 드문, 아름다운 새에게 총질을 해대는 인간은 과연 어떻게 생겼을까요? 과연 입으로 밥이 넘어갈까요?

혈액검사는 더욱 비참했습니다. 혈액내 고형물질의 양은 통상적으로 37-41%에 가까워야 하는데 흰꼬리수리의 경우 고작 17%에 불과했습니다. 심각한 실혈이 있었던 셈이죠. 숨을 쉴 때마다 등에 난 관통상을 통해 피거품이 끓어오르고, 숨이 새어나왔습니다. 이를 어쩔까요...


센터에 도착한 흰꼬리수리입니다. 몸을 가누지 못하고 있습니다.

입가에는 피가 묻어있고, 다친 척추로 인한 다리를 쓰지 못하고 있습니다.

등에 난 총상, 관통상입니다. 날고 있는 개체를 쐈을 가능성이 높다는 뜻입니다.


저 아름다운 눈빛은 과연 인간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 것일까요?

호흡기를 다쳐서 숨을 쉬면서 피가 입안으로 넘어옵니다. 우리가 과연 어떤 동물에게 이런 아픔을 줄 권한을 가졌을까요?

숨이 새어나오면 호흡에 심각한 지장을 줄 수 있어 있단 관통상을 폐쇄해두었습니다만, 내부장기는 얼마나 다쳤을지 상상할 수 없습니다.

......

이러한 한반도에 왜 찾아오는 것일까요? 차라리 멀고 먼 동토에서 그냥 어렵더래도 버털터이지...

가슴에서 큼지막한 상처가 있습니다.

적어도 한개 이상의 총알은 관통해버렸고 나머지 4개의 총알이 몸 안에 남아있습니다.

내부장기가 훼손되었지만 현재의 몸 상태로는 내부장기를 수술하기 위해 마취를 할 수도 없습니다.






지난 1월 초순 방문했던 경북 울진군의 왕피천 하류에서 벌어진 일입니다. 흰꼬리수리 유조 2마리와 참수리 유조 한마리가 날고 있는 사이로 RC 비행기를 몰아대며 위협하던 사람들입니다. 대체 어떤 정신세계를 가진 것일까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물을 돕기 위한 노력들도 있습니다.

지난 2011년 1월 20일에 발견된 흰꼬리수리 유조입니다. 농약에 중독된 후 낙동강변에 쓰러져 있다가 얼음이 다리와 함께 얼어버려서 상주의용소방대분들이 얼음을 깨고 구조한 흰꼬리수리 어린 개체입니다.




동상으로 인해 발가락을 움직이는 인대의 손상이 심해서 발가락을 펴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발가락을 펴지못해 발가락 등부분이 손상당하는 것을 막고자 인조잔디를 깔아주었죠.

또한 다리가 양쪽으로 벌어지는 문제(splayed leg)가 발생하여 벌어지지 않도록 가죽끈으로 양다리를 묶어두었습니다. 또한 사람의 발목부위에 욕창이 생겨 추가적인 손상을 막고자 부목을 대 두었죠. 

최종적으로 2개월 정도 극진한 간호 끝에 일어설 수 있게 되었고 이 개체는 드디어 비상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박상현님의 도움을 얻어 야생화 훈련을 진행하였고 하늘을 날 수 있게 되었답니다.



동상으로 인해 좌측 다리 아랫쪽의 깃털이 빠졌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회복되겠지요.


때때로 이러한 훈련은 야생화를 위한 적절한 훈련이 될 수 있습니다.


흰꼬리수리는 매우 큰 대형 수리종입니다. 수리라고 하면 말 그대로 큰 맹금류를 뜻합니다. 보통은 3kg이 넘어가는 종을 이야기하죠. 전신은 약 66-94cm에 달하고 양 날개를 편 길이는 1.8-2.4미터에 이를만큼 큰 조류입니다. 암컷의 경우 일반적으로 4-6.5kg에 달하며, 수컷의 경우 3.1-5.4kg까지 나갑니다만 암컷이 여전히 더 큽니다. 유럽 스코틀랜드에서 호가인된 가장 큰 개체는 7.5kg에 달할 정도엿다니 실로 어마어마한 크기입니다. 세계에서 4번째로 거대하고 무거운 수리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날개는 문짝처럼 넓고 길게 발달해있고, 큰 머리에 크고 두터운 부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 성장한 성체의 경우 회백색의 몸깃을 가지고 있고 날개는 다소 검습니다. 하지만 이름처럼 꼬리는 완전히 하얗게 변하지요. 부리와 다리는 노랗습니다. 어린 개체들의 경우 부리와 꼬리가 검고 꼬리의 경우 얼룩덜룩합니다. 나이가 들어갈수록 꼬리깃과 부리의 색은 점차 변해갑니다.
 
야생에서는 25년 이상을 생존하며, 평균적으로 21년 정도를 산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북유럽과 아시아 북부에서 주로 서식합니다, 유럽에서는 노르웨이의 연안에 가장 많이 서식하고 있고 2008년도 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에 약 9,000-11,000쌍의 개체가 살고 있답니다. 우리나라를 찾는 흰꼬리수리는 주로 러시아에서 겨울에 찾아오며, 남해안의 신안군 일부 섬에서는 번식개체군이 있습니다.
 
지난 겨울에 날려보낸 흰꼬리수리 유조는 아무르강 중앙부에 위치한 섬에서 여름을 났고, 현재 동해안에 들어와 있는게 확인되었지요.
 
흰꼬리수리는 DNA 연구 결과 북미에서 서식하는 흰머리수리와는 매우 유사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마도 북태평양에 서식하던 개체군이 동부로 이동하면서 북미의 흰머리수리로 진화하였고 서부로 이동한 개체군은 유라시아 대륙에 정착하여 흰꼬리수리가 되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먹이는 매우 다양하고 기회주의적 먹이습성을 보입니다. 즉 보이는대로 먹는다는 의미이기도 하고 계절에 따라 먹이를 달리합니다. 일반적으로 먹이는 물고기, 조류와 포유류를 포함하죠. 많은 경우 청소동물로서 살아가며, 경우에 따라서는 수달이나 가마우지와 같은 다른 조류가 잡은 먹이를 가로채기도 합니다. 죽은 동물사체를 잘 먹는데, 고래류부터 가축까지 가리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토끼와 오리류도 잘 잡는 맹금류이기도 합니다. 하루에 필요로 하는 먹이량은 500-600g 정도의 먹이를 먹는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유럽에서는 검독수리와 서식권이 겹치기도 하는데 검독수리에 비해서 더 높은 밀도로 서식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 이유 중 하나가 검독수리에 비해서 덜 활동적이기도 하지만, 장의 길이가 더 길어서 영양분의 흡수력이 더 좋아서 적은 먹이로도 더 오래 버틸 수 있는 장점이 있다는군요.
  
공격성에 대한 재미있는 보고가 있는데, 1932년 6월 5일 노르웨이의 한 시골에서 흰꼬리수리가 Svanhild Hansen이라는 4세 여아의 옷을 뒤에서 잡아채 들고서 해발 800미터 정도에 위치한 둥지로 들고 갔답니다. 약 1.6km를 날아갔는데 둥지에서 약 15미터 정도 낮은 절벽모퉁이에 내려놓았다는군요. 재빠르게 수색대를 조직하여 둥지로 찾아갔더니 아이는 많이 다치지 않았는데, 발톱이 아이의 옷만 잡아서 들고 온 사례도 있었답니다.
흰꼬리수리는 약 4년에서 5년 정도 성장해야 번식을 할 수 있습니다. 한번 짝을 지은 경우 겅의 평생을 같이 하며, 짝이 죽을 경우 다시 다른 개체와 짝을 이룹니다. 이러한 짝짓기는 텃세권이 명확해진 이후에 가능하답니다. 아주 특징적인 공중제비 구애를 펼치는데 공중에서 서로 발톱을 끼워서 붙들고 지면으로 둥글게 돌면서 떨어지는 구애를 보인다고 하는군요.
 
둥지는 주로 절벽이나 나무의 중간 가지를 이용해서 만듭니다. 거의 둥지는 다시 사용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몇 세대에 걸쳐 수 십년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는군요. 아이슬랜드의 한 둥지는 150년 넘게 사용된 적도 있답니다.
 
세력권은 일반적으로 30에서 70 km²정도이고 거의 바닷가를 끼고 살지만 경우에 따라 큰 호수나 강을 따사 살기도 합니다. 검독수리의 세력권과 겹치기도 하지만 별로 상관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검독수리의 경우 산악이나 황무지 지대를 선호하는데, 흰꼬리수리는 연안이나 바다를 선호하기 때문이랍니다.
 
일단 성장을 하게 되면 apex predator 즉 더 이상의 천적이 없는 최상위포식자가 된답니다.
 
알은 매년 1-3개 정도를 낳고 3월에서 4월 2-5일 간격으로 하나씩 낳는답니다. 부모에 의해 약 38일간 부화되며, 주로 어미새가 돌본답니다.약 5-6주 정도 성장한 이후부터 스스로 먹이를 먹을 수 있으며 11-12주(3달 가량) 정도 자라면 이소를 시작하여 둥지 주변을 돌아다닙니다. 이후 6주에서 10주(생후 네달 반에서 5달 반 정도) 정도 더 부모들이 돌봅니다.
 
폴란드에서 설치한 흰꼬리수리 둥지의 웹캠입니다. 시간이 나신다면 한번 방문해보시죠.
 
http://www.lasy.gov.pl/bielik
 
(위키피디아 정보)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