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4일 충남 태안군 남면 당암리 내 삼거리 도로에서 발견이 되었고, 한국야생동식물보호협회 태안지회에서 구조하여 임시 보호를 하고 있었죠...
발견 장소 등의 정황상 사고 발생원인은 차량 충돌로 추정되었습니다.
| 인수 당시 고라니의 상태. 1년생 숫컷이며 차량 충돌에 의한 충격으로 인해 출혈과 뇌진탕 증상을 나타내고 있었다. |
센터로 이송 후 초기 검사에서 다행히 골절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머리쪽의 충격으로 인해 몸을 잘 가누지 못하는 상태였습니다.
또한, 좌측 어깨 및 상완부 피부가 찢어져 있었고 근육도 손상되어 있었죠...
| 센터로 이송 후 신체 검사 및 방사선 촬영을 위해 호흡 마취 실시. 좌측 어깨와 상완부 피부에 약 20cm 정도의 창상이 확인되었고, 털과 다른 이물질로 오염되어 있었다. |
오염된 피부와 근육부위는 세척 및 소독을 한 후 바로 봉합을 해주었습니다.
| 찢어진 피부의 응급처치. 주변 털을 제거하고 세척 및 소독 뒤 피부 봉합을 실시하였다. |
초기 간이 혈액검사에서는 약간의 탈수정도만 확인이 되었으나, 입원장 내에서 먹이와 물을 스스로 먹지 못하면서 혈당이 떨어지고 탈수가 더 심해지는 등 상태가 악화되기 시작하여 3일간 수액과 영양제를 투여하였지요..
| 입원장에서 수액을 통해 영양 공급을 받고 있는 고라니. 식욕절폐로 인해 탈수 및 혈당저하가 지속되어 수액을 통한 영양 공급을 실시하였다. 수액이 들어가는 동안 안정될 수 있도록 고라니 전용 후드(가리개)를 씌워 눈을 가려주고, S자 고리와 도래, 끈 등을 이용해 천장에 매달아서 수액줄이 꼬이지 않도록 해주었다. |
약물 치료와 수액을 통한 영양공급을 실시한지 일주일 정도가 지나서 드디어 먹이를 조금씩 스스로 먹기 시작하였습니다.
하지만, 머리의 충격으로 인해 사람이 가까이 가도 예민하게 반응하거나 도망치지 않더군요...
그렇게 약 3주 정도를 돌본 결과, 여느 정상 고라니처럼 인기척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을 할 정도로 좋아지게 되었습니다.
아래의 영상은 방생을 하기 위해 입원장에 있는 고라니를 포획하는 모습입니다.
고라니는 매우 예민한 동물이며 포획시 반항이 매우 심하므로 숙달된 사람이 아니면 고라니를 다치게 할 수 있고 포획하는 사람 또한 부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포획뒤 호흡마취 상태에서 안전하게 봉합한 피부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발사(봉합사의 제거) 및 기타 건강 상태를 최종적으로 확인하였습니다.
| 봉합창 상태 확인 및 발사 후 피부 상태. 호흡마취 상태에서 봉합한 피부가 깨끗하게 붙은 것을 확인하고 봉합사를 제거하였다. |
이런 모든 과정을 마친 후 두번 다시 교통사고를 당하지 않도록 최대한 도로와 멀리 떨어진 안전한 장소에 지난 6월 2일 방생이 되었죠..
우리의 보살핌이 헛되지 않도록 야생에서 건강하게 잘 지내길 바래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