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를 검색해보세요

2015년 5월 10일 일요일

우리 집에 새가 둥지를 틀고 새끼를 기르고 있어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우리 집에 새가 둥지를 틀고 새끼를 기르고 있어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라고 누군가 물어온다면 어떠한 대답을 들려줘야 할까요?

만약 둥지가 굉장히 아슬아슬한 위치에 있어 바로 어떠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자칫 둥지 안의 새끼가 다칠 수 있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던가, 둥지를 당장에 치우지 않으면 생활하는데 아주 큰 불편함이 따르는 경우가 아니라면 위의 질문에 대한 대답은 정해져 있습니다.

2주, 아무리 길어도 딱 3주 만 그냥 가만히 두고 기다려주세요.

황조롱이가 아파트 베란다에 놓인 화분에 둥지를 틀었습니다. 


사람이 살아가는 집에 새가 둥지를 튼다는 것은 그리 흔한 일은 아닙니다. 물론 제비와 같이 천적의 위험에서 벗어나기 위해 다소 덜 위험하다고 판단되는 사람의 곁에 둥지를 트는 습성을 가진 종을 제외한다면 말이죠. 허나 제비가 아닌 다른 새들도 사람의 집에 둥지를 트는 경우가 종종 목격되고 있습니다. 심지어 도심 속 아파트나 높은 고층건물에도 말이죠.

사람이 있는 곳엔 자신과 새끼를 위협하는 천적의 접근이 어렵다는 것을 알고 있는 제비는
사람의 왕래가 잦은 재래시장 처마나 간판 밑에 둥지를 트는 습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보통 새들의 경우 각 종의 특징에 따라 둥지선택의 장소가 달라집니다. 물론 모든 새들이 둥지를 짓는 장소를 선택함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은 새끼를 안전하게 기를 수 있는지의 여부입니다.

만약 아파트 화단이나 배란다와 같은 공간이 안전하고 적합하다고 판단된다면 둥지를 트는 것 역시 충분히 가능한 이야기 입니다.

종종 도심 속 건물이나 아파트에서 새끼를 길러내는 맹금류 '황조롱이'


TV나 인터넷을 통해 종종 아파트 베란다에 둥지를 튼 새의 이야기를 접하신 적이 있을 겁니다. 보통 그 이야기의 주인공은 천연기념물 323-8호 '황조롱이'인 경우가 많습니다. 충남야생동물구조센터에도 매년 여름 아파트에 둥지를 튼 새를 구조해달라는, 조치를 취해달라는 연락을 종종 받았었는데 대부분은 마찬가지로 '황조롱이' 였습니다.

황조롱이의 경우 보통 탁 트인 평원을 마주하고 있는 암벽에 둥지를 틀고 새끼를 길러냅니다. 만약 탁 트인 평원을 마주한 아파트가 있다면 황조롱이에게 이 아파트는 암벽과도 같은 역할을 하게 되는 것 입니다. 때문에 꽤나 적합한 번식장소가 될 수 있는 셈 이지요.

물론 이렇게 도심 속 건물이나 아파트 베란다 등에 둥지를 트는 경우가 황조롱이에게만 해당되는 것은 아닙니다만, 이런 경우가 가장 흔히 목격되는 황조롱이는 보통 3월 말에서 4월 말 사이에 산란을 합니다. 알은 5월 중에 부화를 하게 되고 약 3주, 아무리 길어봐야 한 달이 채 되지 않는 시간이 지나면 모두 둥지를 떠나갑니다.

베란다에 위치한 에어컨 실외기 위에 자리 잡은 황조롱이 가족.


장소와 환경 자체는 이들에게 꽤나 적합했겠습니다만, 이들은 미처 '사람' 까지 고려하지 못했었나 봅니다.

보통 새끼를 길러내는 새들을 목격하게 되면 반응이 여러 가지로 나뉩니다.
자신의 집에 새가 둥지를 튼 사실을 신기해하고 기뻐하며, 될 수 있는 한 도움을 주려고까지 노력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반면에 무섭다, 더럽다, 시끄럽다 등의 이유로 못마땅해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심지어 야생동물구조센터에 전화를 걸어와 자기 집 베란다에서 새가 새끼를 기르고 있는데 더럽고 시끄러우니 당장 베란다에서 끄집어내라며 난리를 쳤던 적도 있습니다.
육추 중인 새끼 새의 위치를 함부로 옮기는 것은 새끼 새들의 생존에 영향을 끼칠 정도로 굉장히 위험하기 때문에 조금만 참고 기다려주길 권고했지만 집주인을 완고하게 거절을 하였고, 어쩔 수 없이 임시로 인공둥지인 Hack table을 만들어 아파트 옥상에 설치를 한 후 새끼를 옮길 수밖에 없었습니다.

길어봐야 3주면 떠날 친구들인데, 결국 베란다에서 쫓겨나고 말았습니다. 
걱정되는 마음에 지켜보았더니 다행히도 어미가 포기하지 않고 새끼를 돌보러 나타났습니다.


또 한 번은 어느 학교에서 구조신고를 받은 적이 있습니다. 교실 내부에 딱새가 둥지를 틀고 새끼를 기르고 있는데 시끄럽고 더러워서 둥지를 떼어냈으니 데려가 달라는 연락이었습니다. 사실 말이 좋아 구조였지 쫓아낸 것과 다르지 않았습니다. 결국 어미 딱새는 새끼를 도저히 기를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고 판단했고 포기하고 말았습니다.
영어와 수학은 중요하지만 자연과 생명의 소중함은 경시하는 학교에서 과연 우리 아이들이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요?

학교 교실에 둥지를 틀었다는 이유로 쫓겨난 딱새 가족.
학교에서는 자연과 생명의 소중함을 가르쳐주지 않는 것 같습니다. 


제비가 둥지를 많이 트는 재래시장을 둘러보면 너무나 쉽게 안타까운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둥지를 떼어낸 흔적, 지어진 둥지를 사용할 수 없게끔 둥지 내부에 이물을 넣어놓은 모습 등을 말이죠.

보통 제비의 변이 바닥으로 떨어져 더렵혀진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둥지를 없애거나 둥지 내부에 이물을 넣어놓은 모습을 보고 있노라면 조금의 불쾌함과 불편을 방지하기 위해 번식 자체를 못하게 방해하는 방법까지 선택해야 했는지 속이 상합니다. 하물며 변으로 인한 오염이 문제라면 둥지 아래에 임시로 배변이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배변판 하나만 달아놓아도 해결될 일인데 말이죠.

제비는 진흙과 지푸라기 등을 수백, 수천 번 물어 날라야 겨우 집을 완성할 수 있습니다. 생명을 품어내기 위한 그들의 노력이 정녕 우리에겐 불편함, 번거로움, 더러움 인가요?

제비의 변이 바닥으로 떨어져 더럽혀진다는 이유로 제비의
번식을 방해하기 위해 둥지 안에 이물을 넣어 놓은 모습.
제비는 진흙과 지푸라기 등을 수백, 수천 번 물어 날라야 겨우 집을 지을 수 있습니다.
생명을 품어내기 위한 그들의 노력이 정녕 우리에겐 불편함, 번거로움, 더러움 인가요?


물론, 자신의 집에 새가 둥지를 튼 사실을 신기해하고 기뻐하며, 될 수 있는 한 도움을 주려고까지 노력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선박에 둥지를 튼 제비를 위해 새끼가 다 자라 떠날 때까지의 한 달간 경제적 손실을 무릅쓰고 어업을 하지 않았던 어민의 이야기는 많은 사람에게 생명존중의 귀감이 되기도 했습니다.

공사 중인 아파트 베란다에서 발견 된 수리부엉이 새끼의 모습. 
아파트 관계자들은 감사하게도 수리부엉이가 무사히 이소할 때까지
 불필요한 자극을 주지 않겠다고 약속해주었습니다.
자신의 아파트 실외기 위에 둥지를 튼 황조롱이가 행여 뙤약볕에 더워하지는 않을까
우산으로 그늘을 만들어주고, 사냥에 실패하는 경우가 반복될 경우 먹이까지 챙겨주시는 집주인분.


자, 그렇다면 우리 집에 새가 둥지를 틀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사실 가장 좋은 방법은 새끼가 모두 이소할 때까지 자극을 최소화 해줌과 동시에 신경 쓰지 않고 내버려두는 것 입니다. 딱 2~3주 정도만 불편함을 감수하고 모른 척 해주시면 된다는 이야기죠.

하지만 그럴 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둥지의 위치가 계속해서 자극을 줄 수밖에 없는 곳에 있다거나, 새 생명의 탄생 과정을 관찰하고자 싶으실 때가 그런 경우입니다.
그런 때에는 몇 가지 고려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1. 과하지 않은 하지만 주기적인 관찰이 필요
  - 새끼가 높은 곳에 위치한 둥지에서 떨어지는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정상적인 육추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일이기도 하지만 선택한 둥지장소가 너무 비좁거나 조금은 부적합한 환경으로 인해 벌어질 수 있는 일이기도 합니다. 주기적으로 관찰을 한다면 이런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사고가 났더라도 빠른 대처가 가능해집니다. 허나 역시 너무 자주, 가까이서 관찰을 하게 되면 악영향을 끼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2. 아직 알을 품고 있는 상황이라면 불필요한 자극은 최소화
  - 어미가 알을 품고 있는 포란 시기에는 굉장히 예민해집니다. 사람의 과도한 자극이나 접근으로 인해 둥지와 알을 포기하고 떠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선 불필요한 자극을 최소화해야 하며, 일단 알에서 새끼가 부화한다면 새끼를 지켜내려는 모성애가 더 강해지기 때문에 포기할 확률이 적어지므로 꼭 관찰하고 싶다면 되도록 포란이 끝난 후 부터 진행하는 것이 옳습니다.

3. 육추 과정에 있어 과도한 관여는 금물 
  - 어떠한 분들은 우리 집 베란다에 황조롱이가 둥지를 틀었다며 기쁜 마음에 돼지고기며, 소고기며 이것저것 준비해서 제자식 돌보는 마음으로 먹이를 먹여주기도 합니다. 야생동물을 위하는 그 마음은 참으로 감사하지만 이 역시도 악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꼭 기억하셔야 합니다. 먹이를 주는 과정에서 사람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받게 되고 이는 후에 자연에서 살아감에 있어 걸림돌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허나 불의의 사고로 어미 중 한마리가 돌아오지 않는다던가, 짓궃은 날씨가 계속되어 먹이사냥을 못하는 경우 부분적으로 먹이주기에 관여해 도움을 줄 수는 있겠습니다.
황조롱이와 같은 맹금류의 경우 영양성분과 시중에서 구하기 쉬워야 함을 고려해봤을 때 닭 날개를 으깬 후 적당한 크기로 잘라 급여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새가 둥지를 짓고 알을 낳아 부화시킨 후 새끼를 길러내기까지 약 2달 정도가 소요됩니다. 그 중 둥지를 짓고 알을 낳아 품는 한 달은 사실 불편할 것도 없습니다. 아주 조용하고 흔적도 많이 남기지 않기 때문이죠.
문제는 새끼가 부화하고 나서 입니다. 먹이를 한번이라도 더 받아먹기 위해 소리내어 울고, 성장을 위해 종일 먹이를 먹기 때문에 배변활동도 많이, 자주합니다. 때문에 새끼가 태어나 이소할 때까지 약 한 달은 꽤나 불편하실 수도 있습니다. 이해합니다.

허나 시끄럽고 내 집의 일부가 더러워진다 하더라도 새 생명을 위해서라면 기꺼이 불편함을 감내할 용의가 있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아졌으면 좋겠습니다. 당신의 불편한 한 달은 야생동물에겐 평생에서 가장 중요한 한 달입니다.

시끄럽고 내 집의 일부가 더러워진다 하더라도 새 생명을 위해서라면 기꺼이!!
불편함을 감내할 용의가 있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아졌으면 좋겠습니다.


작성자
충남야생동물구조센터
재활관리사  김봉균

2015년 5월 7일 목요일

2015년 4월 야생동물 구조(치료) 결과 분석

1.종별 개체수 분석.(2015년 4월)



4월에는 총 44마리의 야생동물이 구조되어 접수되었습니다. 포유류는 3종 21개체 (48%), 파충류 1종 1개체(2%), 조류 11종 22개체(50%) 였고 지난달에 비해 접수된 너구리는 없었으나 고라니는 19개체로 지난달보다 더 증가하였습니다.

2.구조 원인 분석.(2015년 4월)




4월에 구조된 동물들의 사고 원인들도 다양했지만, 차량과의 충돌(포유류)이 19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다음으로 전선이나 건물과의 충돌이 많았습니다.

 

3.구조 지역 현황.(2015년 4월)



4월에는 충남야생동물이 위치한 예산(7개체)에서 가장 많은 동물이 접수되었습니다.


4.구조, 치료 결과.(2015년 4월)


4월동안 구조되어 충남야생동물 구조센터에 접수된 동물은 총 44개체 였으며 이중 8개체(18%)가 자연으로 돌아갔으며 7개체(16%)는 현재 치료 및 재활중에 있습니다. 

작성자
충남야생동물구조센터
진료 수의사 장진호